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위도메인으로 운영하는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서치 콘솔 등록법

by 투블로 2025. 7. 17.
반응형

 

개인 도메인에 연결된 내 블로그들, 구글 검색에 잘 나오고 있나요? 하나의 도메인에 여러 티스토리 블로그를 연결했다면, 구글 서치 콘솔에 '각각' 등록해야 합니다. 구글이 내 모든 블로그를 빠짐없이 수집하게 만드는 가장 확실한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tech.mybrand.com'에는 IT 글을, 'travel.mybrand.com'에는 여행기를 쓰며 야심 차게 멀티 블로그 운영을 시작하셨나요? 축하드립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우리가 애써 만든 블로그들을 구글 검색 로봇이 제대로 찾아와 읽고, 검색 결과에 멋지게 노출시키도록 길을 알려주는 작업이 남았거든요. 바로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 등록입니다.

"메인 도메인 하나만 등록하면 알아서 다 해주는 거 아니야?"라고 생각하셨다면, 아주 중요한 포인트를 놓치고 계신 겁니다. 구글은 각각의 하위도메인을 별개의 독립적인 사이트로 인식하기 때문에, 우리가 직접 "여기 새로운 사이트가 있어요!"라고 알려줘야 합니다. 오늘은 그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

구글서치콘솔에 등록하는 모습

핵심 원리: 블로그 개수 = 서치 콘솔 속성 개수 🔑

가장 중요한 원칙입니다. 내가 운영하는 블로그가 2개라면, 구글 서치 콘솔에도 2개의 '속성'을 등록해야 합니다. 10개라면 10개를 등록해야 하죠.

  • IT 블로그 (tech.mybrand.com) → 서치 콘솔에 'tech.mybrand.com' 속성 등록
  • 여행 블로그 (travel.mybrand.com) → 서치 콘솔에 'travel.mybrand.com' 속성 등록

이렇게 각각 등록해야만 각 블로그의 검색 실적(노출 수, 클릭 수 등)을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사이트맵 제출 등의 관리를 정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 '도메인' 속성 vs 'URL 접두어' 속성
서치 콘솔에 등록할 때 두 가지 유형이 보입니다. 하위도메인을 각각 등록할 때는 'URL 접두어' 방식을 사용합니다. '도메인' 방식은 해당 도메인의 모든 하위 주소(www, http, https 등)를 한 번에 관리하는 강력한 방식이지만, 설정이 조금 더 복잡하고 티스토리 개별 블로그 관리에는 'URL 접두어' 방식이 더 직관적이고 편리합니다.

 

서치 콘솔 등록 3단계 (블로그별 반복) 🔁

이제 'tech.mybrand.com' 블로그를 예시로 등록 과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이 과정을 다른 블로그(travel.mybrand.com)에도 똑같이 반복하면 됩니다.

1단계: 서치 콘솔에 하위도메인 속성 추가하기

  1.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
  2. 왼쪽 상단의 속성 선택 메뉴(아마 현재 다른 사이트 이름이 보일 겁니다)를 클릭하고, 맨 아래의 '+ 속성 추가'를 선택합니다.
  3. '속성 유형 선택' 창이 나타나면, 오른쪽 'URL 접두어' 방식에 내 하위도메인 주소(https://tech.mybrand.com)를 정확하게 입력하고 '계속'을 클릭합니다.
⚠️ 주의하세요!
티스토리는 보안 접속(HTTPS)을 지원하므로, 반드시 주소 앞에 https://를 포함하여 전체 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2단계: 소유권 확인 (티스토리 플러그인으로 10초 컷!)

"이 블로그가 정말 당신 것인가요?"를 증명하는 단계입니다. 티스토리는 이 과정을 아주 쉽게 만들어주는 플러그인을 제공합니다.

  1. 해당 티스토리 블로그(IT 블로그) 관리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플러그인' 메뉴에서 '구글 서치콘솔'을 찾아 클릭합니다.
  3. '계정 연결하기' 버튼을 누르고, 내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액세스를 허용합니다.
  4. 연결이 완료되면 '적용' 버튼을 누릅니다. 이제 소유권 확인은 자동으로 끝났습니다!
📌 이미 다른 블로그에서 플러그인을 연결했다면?
이미 메인 블로그 등에서 서치콘솔 플러그인을 연결해 둔 상태라면, 1단계에서 속성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소유권이 자동으로 확인될 수도 있습니다. '소유권이 자동으로 확인됨' 창이 뜨면 바로 3단계로 넘어가세요!

3단계: 사이트맵 및 RSS 제출하기

소유권 확인이 끝났다면, 구글 검색 로봇에게 내 블로그의 '지도(사이트맵)'와 '새 글 구독(RSS)' 주소를 알려주어 콘텐츠를 더 빨리, 더 정확하게 수집해가도록 해야 합니다.

  1. 다시 구글 서치 콘솔로 돌아와, 방금 추가한 하위도메인 속성(tech.mybrand.com)을 선택합니다.
  2. 왼쪽 메뉴에서 'Sitemaps'를 클릭합니다.
  3. '새 사이트맵 추가' 란에 sitemap.xml을 입력하고 '제출'을 클릭합니다.
  4. 다시 같은 란에 rss를 입력하고 '제출'을 클릭합니다.

여기까지 마치면 한 블로그의 서치 콘솔 등록이 완벽하게 끝난 것입니다. 이제 다른 블로그(travel.mybrand.com)에 대해서도 1~3단계를 똑같이 반복해주세요!

 

💡

하위도메인 서치콘솔 등록 요약

핵심: 블로그 개수만큼 'URL 접두어'로 속성 추가
소유권 확인: 각 블로그의 플러그인으로 간편하게 해결
필수 작업:
각 속성별로 sitemap.xml과 rss 제출
결과: 블로그별 독립적인 검색 실적 분석 가능

이제 여러분의 모든 블로그가 구글의 감시망(?) 안에 들어왔습니다. 각 블로그의 성과를 꾸준히 추적하고, 양질의 콘텐츠를 발행하여 멋진 멀티 블로그 제국을 건설하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